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b3

공공API 사용 관련하여 나름대로의 최적화? 공공 API를 사용하면 대부분 데이터가 분명 방대한 양일 것이다.해당 데이터들을 Grid 등으로 출력해주고 하다보면 페이징처리나 infinity scroll 같은 처리를 하여도 특정 검색 조건으로 필터링하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조회하게 되는 경우 응답 받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가 많았다.물론 잘 처리하는 사람은 크게 문제 없을 수 있겠지만 내 능력 한도 내에서는 그랬다.  몇일 고민을 하다 이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 볼까하는데 일단 특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자정)마다 DB에 전체 조회 데이터를 넣고 업데이트 치도록 하고 API를 받아올때 내가 사용한 공공 API는 최종 수정한 날짜 값이 있었고 필터링으로 조회 값 중 오늘 날짜보다 이후인 수정날짜가 있으면 스케줄러에서 업데이트.. 2024. 5. 14.
204 에러 - Preflight 기존과 동일하게 몇몇 CRUD를 처리하던 도중에 한 기능에서 Update를 처리하려는데 204 에러를 뱉어서 원인을 찾느라 꽤 애를 먹어 기록에 남기고 같은 실수를 하지 않고자 한다. NodeJS를 처럼 사용해서 그런것 같기도 하지만 이유가 내 입장에서는 정말이지 어이가 없는 실수였다. 기존 다른 기능에서와 동일하게 Update 처리를 했었고 그래서 도저히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Post로 클라이언트단에서 Parameter들을 보내줬었고 서버단에서 받아서 처리하면 되는 상황이였는데 이상하게도 DB를 보면 처리는 되어 있는데 에러는 뱉어내고 있었다. NodeJS를 처음 접했을때 별다르게 화면단에서 반환 받을 값이 없는 경우 json 메서드로 메시지를 던져주는 코드가 있었는데 나는 단순히 .. 2023. 4. 23.
배우면서 쌓아가는 MySQL 문법 일단 DB를 생성할 때는 CREATE database [Database 명] 아주 시작 초기에는 DB를 갈아엎고 다시 생성하는 일도 많기 때문에 DB를 삭제할 때는 DROP database [Database 명] 사용할 DB를 선택할 때는 USE [Database 명] MySQL의 경우 Workbench에서 컬럼을 추가한다거나 수정을 할때 위 사용 쿼리 없이 시도하면 Error Code : 1046 'No database selected Select the default DB to be ...' 와 같은 에러를 뱉기도 한다. 가장 기본적인 조회는 SELECT * [혹은 찾고자 하는 Column명] FROM [DB명].[Table명] [혹은 Table명] // 추가로 조건으로 찾고자 한다면 Where절을 .. 2023.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