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11 VO에서 Map 변환 메서드 (Apache Util) 회사에서 업무를 처리하다 기존 구현된 메서드들이 Parameter 타입이 달라 VO를 Parameter로 넘겨주는 Service 등을 구현해서 사용하였다. 기존에 쿼리를 로그로 찍도록 되어 있었는데 내가 구현한 부분만 로그에 찍히지 않고 있었다. 간단한 오류였지만 로그에 찍히지 않으니 문제를 쉽게 발견하기 힘들었는데 알고보니 기존에 Parameter 타입을 모두 Map으로 변환해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그렇게 사용할 경우에만 로그에 찍히도록 설정해 놓았기 때문이다. 즉, 내가 추가로 다른 타입을 사용해서 구현한 부분들은 당연히 찍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일일히 변환 시켜줘야 하나 생각했는데 Apache의 Util로 제공되는 메서드 중 VO를 Map으로 변환시켜주는게 있었다. HashMap vo.. 2023. 8. 31. @ModelAttribute 그리고 @RequestParam @RequestParam 사용자가 요청 시 전달하는 값을 Handler(Controller)의 매개변수로 1:1 Mapping할 때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다. @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getTestPage(@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System.out.println("이름 : " + name); return "test"; } } 위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name=test 로 요청을 하게 되면, 위 Handler의 매개변수인 name에 "test"가 Mapping된다. @ModelAttribute 사용자가 요청 시 전달하는 값을 Object 형태로 Mapping.. 2023. 8. 24. @RequestMapping 이란? 특정 URI로 요청을 보내게 되면 Controller에서는 이를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 정의한다. 이 경우 들어온 요청을 특정 메서드와 Mapping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 @RequestMapping이다. @RequestMapping(value = "/hello", method = RequestMethod.GET) @RequestMapping의 속성은 많지만 주로 사용하는 것이 value와 method이다. 위와 같이 value 속성에는 요청 받을 URL을 작성하고 method는 어떤 방식(GET, POST, PUT, DELETE)으로 요청을 받을지 작성한다. 이때, /hello라는 동일한 URL로 GET, POST, PUT, DELETE 메서드를 작성해야 한다면 @RestController pub.. 2023. 8. 24. @Resource Annotation 이란? @Resource 와 @Autowired 두 어노테이션을 비교해서 살펴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Autowired : 타입(클래스)으로 Bean을 지정 (생성자/필드/메서드에 모두 적용 가능) @Resource : Name으로 Bean을 지정 (필드/메서드에서만 적용 가능) *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타입을 이용하여 의존성을 주입하고 @Resource는 Bean 이름으로 의존성 주입 @Autowired를 사용한 예시 @Repository public class CommonDao { @Autowired private SqlSessionTemplate sqlSession; }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sqlSession은 SqlSessionTemplate 클래스에 의존성을 갖.. 2023. 8. 2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